제주지역 동네서점의 경영위기 극복을 비롯해 지역출판 유통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제주 책 물류창고'와 같은 대형 물류센터를 구축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돼 주목된다.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학과장 고영철)와 사회과학연구소(소장 강경희)는 7일 오전 제주대 아라컨벤션홀에서 '2017 지역언론연구'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 제1세션에서 최낙진 교수는 '제주 출판유통 구조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면서 지역출판 활성화 방안의 대안으로 물류센터의 건립문제를 언급했다.

최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왜 '지역'이라는 지역성을 강조했는지 이유를 먼저 설명했다. 그는 "지역출판이 활성화된 지역이 많으면 많을 수록 우리나라 전체 출판문화산업은 건강하고 풍부해진다"면서 "지역출판의 활성화는 우리나라 출판콘텐츠는 물론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지렛대인 셈"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역별 출판 도매업 사업체 현황 및 소매업 현황 등의 통계자료를 제시하며, "특이한 점은 2015년 기준 출판 도매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7% 정도로 매우 낮은 제주도의 경우 사업체 수가 전년(2014년) 대비 마이너스 31.3%로 급격히 줄었지만, 2012년 이후 연평균 증감률에서는 35.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는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주도는 출판 소매업 사업체 비율이 전국대비 0.4%에 불과하지만, 가장 급격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고 전제, "소매업사업체수가 마이너스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평균 증감률은 68.6%를 보였다"2013년 시점으로 제주지역에서 독립서점 등 소규모 책방의 인기를 말해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여러가지 통계 데이터를 통해 제주지역 출판산업의 현황을 설명한 그는 '서점은 제2, 제3의 공공도서관이다'를 화두로 제시하며, 제주지역에 책 보급 전진기지 성격인 창고형 '제주 책 물류센터'의 건립 필요성을 제안했다.

그는 "기존의 유통시스템으로는 동네서점의 어려움이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이의 해결방안으로 제주도 출판유통업계가 대형 물류창고를 마련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면서 "물류센터의 운영은 한번에 대형 도매서점과 여러 출판사들로부터 다양한 책들을 대량, 다량으로 들어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 "개별 서점들의 책 반입 유통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며 "도서반품도 '제주 책 물류센터'를 통해 대량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서 "반품도서 공간의 최소화도 가능하다고, 독자의 입장에서는 제주 책 물류센터에 대량 다량의 책들이 입고되기 때문에 비교적 빠르게 책을 구매, 구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고 피력했다. 

 

박경숙 교수(제주대 언론홍보학과)가 사회를 맡아 이어진 토론에서는 고봉석 한국서점조합연합회 제주도조합 조합장(대진서점 대표)와 진선희 한라일보 교육문화체육부장, 김나솔 제주출판인연대 사무국장이 나서 토론을 벌였다.

고봉석 조합장은 "인터넷 할인 도서 사이트가 생겨난 후 서점 매출은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면서 전국적으로 서점가가 처한 현실적 문제를 언급한 후, 동네서점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돼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제주도 서점에서는 (서울에 가서) 어떤 책들이 나왔는지 체크하고 주문하고 해야 하는 유통과정의 어려움이 있는데, (최 교수가 제안한) 제주 책물류센터 같은 것이 되면 정말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센터를 만드는데 필요한 소요재원이 막대할 것이라는 현실적 문제를 들었다.

진선희 부장은 "제주에 독립출판사들이 많이 생겨났는데, 제주에 이주한 분들이 하는 경우도 많고, 동네에 작은 문화공간으로 자리잡아 나가고 있다"면서 "제주지역 동네서점과 독립서점 등이 서로 상생 협력하며 지역출판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나솔 사무국장은 올해 제주에서 개최된 대형 도서관련 축제 등을 소개한 후, "지역출판 활성화를 위해서는 물류센터 등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헤드라인제주>

*이 기사는 <헤드라인제주> 제공 기사입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제주대언론홍보학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